[삶과 믿음] 안 먹어도 배부른 까닭
지난주에 아이티에 계신 탁 선교사님이 이달 치 식량을 샀다고 사진을 보내주셨다. 이달에는 평소보다 거의 두 배 가까이 식량 구매 자금을 보낼 수 있었는데, 그 덕분에 쌀, 콩, 옥수숫가루, 식용유, 스파게티, 설탕에 세탁비누, 화장지 등이 트럭에 가득 찬 사진을 볼 수 있었다. 그 사진을 보면서 한동안 목이 메었다. 그리고 정말 ‘안 먹어도 배부른’ 경험을 했다.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고난을 온몸으로 견디는 아이티 사람들, 그 혹독하고 잔인한 환경 속에서 더욱 불안하게 살아가는 고아들을 넉넉히 먹일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우리는 풍성한 포만감을 느낄 수 있었다. 아무리 많은 쌀이라 할지라도 여전히 부족하다는 것을 알지만, 그래도 그렇게 쌓아놓은 식량을 보는 것만으로도 오랜만에 마음이 푸근하고 넉넉해졌다. 아침에 죽 먹고, 저녁에 물만 마시고 잠자리에 드는 아이들에게 다음 끼니에 먹을 것이 있다는 것은, 과식으로 비만을 걱정해야 하는 풍요로운 땅에서 사는 이들이 결코 이해할 수 없는 기쁨이고 행복이다. 그렇게 아이들을 먹일 수 있다는 것이, 늘 아이들의 먹거리를 근심하는 우리에게는 먹지 않아도 배부른 감정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예수님께서 사마리아 여인을 우물가에서 만나신 후에 제자들이 먹을 것을 드렸다. 그때 예수님께서는 ‘나의 양식은 나를 보내신 이의 뜻을 행하며 그의 일을 온전히 이루는 것’이라고 하셨다. 인간으로 이 땅에 오신 예수님조차도 육체적인 양식이 필요하셨다. 그러나 예수님에게는 하나님의 일을 이루는 것이 첫째가는 양식이었다. 마을 사람들에게 기피 대상이었고, 스스로 대인기피증이 있던 사마리아 여인이 메시아를 만났다고 외치며 온 동네를 뛰어다니는 사람으로 변화된 것이 아마도 예수님께서 먹지 않아도 배부름을 느끼게 한 이유였을 것이다. 예수님께서는 그렇게 하나님의 일을 하셨다. 아이티 수도가 비행 금지 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아이티는 민간인의 출입이 거의 불가능해졌다. 감히 위험을 무릅쓴다면 마이애미에서 비행기로 북부지역의 캡헤이션 공항까지 가서 헬리콥터를 타고 가는 방법이 있지만, 일 인당 편도 2500달러의 비용이 들고, 헬리콥터가 여러 번 갱들의 총격을 받은 적이 있어 포토프린스까지 가는 길은 사실상 막혀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이런 상황 가운데, 현지에 남아계신 탁 선교사님을 통해 식량을 사서 나눠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감사할 따름인데, 후원자들의 넉넉한 사랑으로 이달에는 더욱 풍족하게 준비할 수 있어 마치 부활절만큼이나 큰 위안이 되어, 우리가 안 먹어도 배부른 듯한 경험을 하게 됐다. 예수님께서는 가는 곳마다 사람들을 먹이셨다. 그것도 배불리 먹이셨다. 사람들을 말씀으로 양육하시고, 육신의 굶주림도 채워주셨다. 광야에서 수많은 청중을 배부르게 먹이셨던 예수님은, 부활하신 후 갈릴리에서 물고기를 잡으러 간 제자들을 위해 해변에서 생선을 구우셨다. 언제 어디서든지 예수님은 사람들의 끼니에 관심이 있으셨고 그분의 식탁은 언제나 풍성했다. 우리는 예수님께서 아이티 고아들도 배불리 먹기를 원하신다고 믿는다. 그리고 그렇게 아이들을 먹일 수 있다면, 그래서 아이들이 잘 먹고 배우며 자랄 수 있다면, 우리는 안 먹어도 배부른 행복을 계속 누릴 것이다. 이 행복이 얼마나 오래갈지 알 수 없지만, 배고파도 울지 않는 아이들을 생각하면서 안 먹어도 배부른 시간이 오래오래, 자주 있기를 기도하고 있다. 조 헨리 / 선교사·더 코너 인터내셔널 대표삶과 믿음 까닭 아이티 고아들 그때 예수님 이후 아이티